본문 바로가기
수원시평생학습관 · 외국어마을
로그인
회원가입
지도로 보는 평생학습기관
facebook
youtube
×
MENU
수원시평생학습관 · 외국어마을
홈
로그인
회원가입
사이트맵
search
통합검색
검색
검색
지도로 보는 평생학습기관
평생학습도시 수원
학습도시수원 개요
지도로 보는 평생학습기관
평생학습지원사업
강사은행제
평생학습동아리
학습둥지
수원시평생학습관·외국어마을
평생학습관 개요
외국어마을 개요
비전 · 미션
주요사업
조직
연혁
시설 · 대관
오시는 길
수강신청
평생교육 수강신청
글로벌교육 수강신청
수강신청방법
평생학습관 교육과정 소개
외국어마을 교육과정 소개
정보마당
교육자료실
학습관소식
언론보도
Learning Letter
웹진 와
참여마당
공지사항
공고
자유게시판
교육후기
묻고답하기
정보알림신청
SEARCH
통합검색
검색
검색
정보마당
홈
정보마당
Learning Letter
printer
home
정보마당
평생학습도시 수원
수원시평생학습관
수강신청
정보마당
참여마당
마이페이지
이용안내
Learning Letter
교육자료실
갤러리
언론보도
웹진 와
자주묻는질문
Learning Letter
[와114호] 살아있는 청년 플랫폼, 박찬국을 만나다
작성자
관리자
작성일
2016.08.10
조회수
2055
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않는 그에게서, 근육으로 사유하는 일과 시간에 대한 상상력에 대해 들어본다.
【기획 연재】 청년 플랫폼을 가다③
살아있는 청년 플랫폼, 듣보잡 아티스트 박찬국
우리는 청년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흔히 20대를 떠올리곤 한다. 하지만
공공미술작가 박찬국은
생물학적 나이를 떠나 청년의 모습을 하고 있다.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않는 그에게서, 근육으로 사유하는 일과 시간에 대한 상상력에 대해 들어본다.
[혁신·교육思考] 2016 SIX 섬머 스쿨
분열된 사회에서 사회혁신은 어떻게 작동되는가. 서로 다른 가치를 지닌 사람들 간의 협력을 어떻게 이끌어 낼 수 있는가. 사회혁신가들이 머리를 맞댄다면 우리의 질문에 답을 얻을 수 있을까?
[분투의 기록_시흥청년아티스트]
현실에 부딪히자 호기는 슬며시 사라지고 걱정과 힘듦이 몰려왔다. '청년 조례 제정'이라는 하나의 이슈를 10명의 멤버가 비슷한 이해도와 관점, 무게로 받아들이는 것부터가 시작이었다.
평생학습동향_수원
[스마트워크 아카데미] 통찰과 창의력, 전략적 사고|수원시평생학습관
근현대사 아카데미|수원KYC
[길 위의 인문학] 바른 암행어사 정약용|반달어린이도서관
[방학 특강] 맛있는 기후변화 이야기|수원시기후변화체험교육관
여름환경들살이학교|수원환경운동센터
수원 영동시장 아트마켓 <취향마켓>|수원영동아트포라
평생학습동향_국내
나의 일 이야기 릴레이 워크숍|희망제작소
2016 하자 허브 부족 캠프 - 부모 세미나|하자센터
2016 비진학청소년을 위한 진로페스티벌|대안교육연대
청소년 메이커 캠프|성북신나
청소년 남산 숲 여름학교|생명의 숲
[나눔교육 아카데미]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퍼실리테이터 워크숍|아름다운가게
제2회 덕후축제
이메일 받아보기
이전글
[와113호] 그냥 내버려두기, 무중력지대
다음글
[와115호] 다양한 지역, 더 많은 플랫폼이 필요하다
목록
페이지 맨 위로 이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