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마을 디자인 프로젝트 : 6가지 상상>
좋은 삶이란 무엇일까? 내 삶과 공동체의 연결고리는?
우리 동네에 어떤 문제가 있고,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?
내 생각을 어떻게 정리하고,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과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?
마을공동체, 마을놀이터, 공동체정원은 어떤 모습일까?
기후위기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?
나는 무엇을 할 수 있나? 시민의 역할은?
일시 : 4.6~5.11(화,수,목) 오전10-12시 또는 오후2-4시
여섯 번의 강연 요일과 시간대가 다르니 잘 확인해주세요.
장소 :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대강당 (대면 강연으로만 진행됩니다.)
대상 및 정원
: 수원도시재단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참가자 100명 +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30명
수강료 : 무료
주차별 주제 및 강사
4.06(목) 오전10-12시
<도시 속 마을 만들기 : 공동체와 좋은 삶의 가치>
홍기빈 (정치경제학자)
4/11(화) 오후2-4시
<에너지 기후와 마을만들기>
하승우 (이후연구소 소장)
4.19(수) 오전10-12시
<마을이 함께 만드는 변화 : 마을이 함께 하는 모험놀이터와 마을공동체 정원>
김성원 (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장)
4.26(수) 오후2-4시
<어떻게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할 것인가>
변재원 (소수자정책 연구자)
5.03(수) 오후2-4시
<시민 참여와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>
이진순 (재단법인 와글 이사장)
5.11(목) 오후2-4시
<마을 만들기란 무엇이고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에 마을 만들기의 중요성은>
유창복 (성공회대학교 사회경제대학원 교수)
※ 본 과정은 수원도시재단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참가자 대상 필수교육으로,
관심 있는 시민들에게도 공개합니다.
※ 한 개의 강연만 참석하더라도 위의 전체 수강신청 버튼을 눌러서 신청해주시면 됩니다.
6회 과정 중 관심 있는 강연 날에만 참석하면 됩니다.
※ 수강 신청 후 별도의 안내 문자가 나가지 않습니다.
강연 날짜와 시간을 잘 체크해서 참석해주세요.